■ 진행 : 김선영 앵커,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미크론 시대가 현실이 됐는데요. 이번에는 전문가와 분석해보겠습니다.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오미크론 확산세를 해외 사례를 대입을 해 보면 우리 지금 확산세면 다음 주에는 1만 명 넘는다, 이런 전망이 있던데 써하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다음 주에는 1만 명이 넘겠죠. 지금 이번 주의 추세만 보더라도 거의 주말 가까이 되면 1만 명 가까워질 것으로 보이고요.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것도 정부의 예상대로 내일모레 사이에서는 우세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확진자의 추세를 보면 지난달 15일날 7850명이 최고치, 정점이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 이후로 계속 떨어지다가 지난 주말부터 이상증세가 나왔던 것이 보통 주말에는 진단검사자 수가 줄어서 적은 숫자가 나와야 되는데 그렇지 않고 같은 숫자가 나오다가 이번 주 들어서는 증가 추세로, 4000명, 5000명, 6000명 이런 수준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아마 내일은 7000명 정도 될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다행히 위중증 환자는 44명이나 줄어서 488명인데 위중증 환자라는 것은 확진자가 생긴 이후에 1~2주 지나면서 시차를 두고 떨어지기 때문에 지금 1~2주 전에 3000~4000명 정도로 떨어졌던 그 숫자가 지금 반영되는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 <br />그때까지는 델타 변이의 영향이었고요.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그렇죠. 지금은 델타 변이가 오미크론으로 치환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둘 다 같이 있는 시기지만 이번 주말을 기회로 해서 아마 오미크론이 더 넘어가는, 우세종이 되는 상황이 될 것이고 오미크론이 늘어난다는 얘기는 전파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환자의 급증세는 분명히 보일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수는 지금 단기간에 급격히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델타 감염자는 점점 사라지는 건가요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그렇죠. 델타 감염자는 점점 적어지는 거죠. 오미크론이 유행이 빠르기 때문에 감염될 사람들은 우선 오미크론이 감염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델타는 10% 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 이번 달 말 정도가 되면 거의 80~90%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2009591803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